본문 바로가기

ROCK TOWN

Mr. Big (미스터 빅)에 대해 알아보자!

반응형

미스터 빅 하면 먼저 자타가 공인하는 최고의 테크니션 집단이라는 생각이 머리속을 스칩니다.

드림 씨어터가 압도적인 연주력과 작곡력을 바탕으로 한 아무나 흉내낼 수 없는 고난도의 드라마틱한

악곡을 전개한다는 점에 비해 그들의 연주는 테크닉의 남발이 없는 철저한 밴드 지향적 입니다.

10대 시절 GIT를 졸업하고 그 곳의 강사를 역임했으며, 레이서 엑스 시절 2장의 스튜디오 앨범과

라이브 앨범을 통해 잉베이 맘스틴을 압도하고도 남을 공전절후의 피킹솜씨로 세인들을

긴장시켰던 기타 히어로 폴 길버트와 데이빗 리 로스 밴드와 탈라스를 거친 또 한명의 카리스마,

베이시스트 빌리 시언의 환상적인 스트링 듀엣에다가 로버트 플랜트와 임펠리테리와의 세션활동을

통해 힘과 정교함을 겸비한 드러밍으로 알려진 팻 토페이, 그리고 독보적인 음색을 지닌 소울풀한

보컬리스트 에릭 마틴의 가세는 그룹의 미래를 밝게 할 수 밖에 없었고 결성 당시부터 많은 화제를

몰고 다녔었습니다.

 

Mr. Big (미스터 빅) 촬영영상 캡쳐

이들의 역량의 첫번째 집결체인 셀프타이틀의 데뷔앨범(1989년)에는 기타와 베이스의 라이트핸드

태핑 대결로 시작하는 'Addicted To That Rush'를 위시한 하이테크 플레이와 대중성을 적절히

조율하여 잘 만들어진 곡들이 포진하고 있었고, 단 한장의 앨범을 통해 이들은 그룹명 그대로인

락계의 '거물'로 등극하게 됩니다. 1991년 2번째 앨범 [Lean To It]은 이들의 음악적 실력이

최고조로 반영 된 작품으로 헤비메탈과 블루스, 어쿠스틱 사운드의 효과적인 조화를 꾀했고,

폴 길버트의 필살기인 드릴 주법이 담긴 'Daddy, Brother, Lover, Little Boy'와 빌보드 싱글 차트

정상을 차지한 'To Be With You'로 하드락이나 헤비메탈이라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던

팬들마저 자신들의 아군으로 포섭시키기에 이릅니다.

 

미스터 빅 앨범 자켓

발라드 성향의 넘버들로 재미를 단단히 본 이들은 2년 후의 [Bump Ahead]에선 캣 스티븐스의 고전

'Wild World'의 말끔한 리메이크를 통해 대중적인 기반을 보다 확고히 다지게 됩니다. 한동안 적수가

없을 것만 같았던 이들의 사운드에 생기가 떨어지게 된 건 4집 [Hey Man]부터 였습니다. 3년이라는

충분한 준비기간을 통해서 탄생 된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정규 앨범 3장을 그대로 답습하려는

듯한 맥빠진 사운드를 담고 있던 이 앨범을 통해서 그들은 적지 않은 팬들을 실망시키게 되고 판매고

면에서도 부진을 면치 못하게 되었습니다.

 

미스터 빅 최근

그룹의 침체기에 발맞춰 멤버들은 솔로나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외도를 하게 되는데, 폴 길버트는

하이테크 속주를 전면 배제한 채, 원맨 밴드의 형태로 두장의 솔로앨범을 공개해 락팬들의

고개를 갸우뚱거리게 했던 반면, 평소 해몬드 올갠의 애호가였던 빌리 시언은 키보디스트 존 노벨로와

재즈 드러머 데니스 챔버스를 포섭하여 실험적인 인스트루멘틀 트리오 나이어신을 결성 합니다.

이전 보다 자유분방해진 베이스 라인, 절제의 미덕과 테크닉의 절묘한 조화를 보여주면서

찬사를 받게 됩니다.

 

한편, 에릭 마틴과 팻 토페이도 각각 솔로앨범을 발표했으나 이렇다 할 호응을 얻진 못했습니다.

1998년 강산도 변한다는 10년 가깝게 동고동락 해온 밴드의 기둥 폴 길버트의 탈퇴는 그룹에 있어서나

그들을 아끼는 팬들에게 있어서나 마른하늘의 청천벽력과도 같은 충격적인 사건이었고, 향후 

잔여 멤버들과 그룹의 미래를 동시에 불투명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동안 몇 장의 라이브 및 편집앨범을

통해서 팬들은 미스터 빅의 사운드에 대한 그리움을 달래고 있던 중 다양한 솔로캐리어와 그룹

포이즌을 거친 화려한 경력의 소유자 리치 코젠을 새로운 기타리스트로 임명 하고 어렵게 발매 된

재기작 [Get Over it]을 맛보게 되었습니다. 정규앨범으론 또 다시 3년만 입니다.

 

미스터 빅 초창기

오늘은 레전드 밴드인 미스터 빅에 대해 포스팅 해봤습니다.

To be with you는 저도 학창시절 엄청 즐겨 듣고, 즐겨 부르기도 했고

보컬 목소리가 너무 섹시하기도 해서 동경의 대상이였는데

그런 밴드를 포스팅 해보니, 옛 생각이 많이나네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또 다른 레전드 밴드를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