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실시간 뉴스 입니다
6월27일 대출규제에 현 기준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65% 급감한거에 대해서 쉽게 아래와 같이 설명 드립니다
🏠 6·27 대출규제란?
- 6월 27일 발표: 수도권 아파트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고, 다주택자의 대출 금지·실거주 의무, 만기 축소, 신용대출 연소득 100% 제한 등을 포함한 초강력 대출 규제 대책이 시행됨 hani.co.kr+8mydailybyte.com+8donga.com+8.
📉 거래량, 거래액 급감
- 서울 아파트 주간 거래량
- 6월 20
26일: 1,629건 → 6월 27일7월 3일: 577건 - 감소율: –64.6% (1,052건 급감) news.nate.com+8khan.co.kr+8v.daum.net+8.
- 6월 20
- 거래액도 동반 급감
- 주간 거래액: 약 2조 3,718억 원 → 3,210억 원 (–86.5%) mk.co.krhani.co.kr.
📍 지역별 영향 분석
- 강남3구 및 마용성(마포·용산·성동)
- 송파구: –95.8% (24→1건)
- 서초구: –93.3% (15→1건)
- 강남구: –68.4% (76→24건)
- 마포구: –66.3% (86→29건), 성동구 –53.8%, 용산구 –21.4% youtube.com+12khan.co.kr+12hani.co.kr+12mydailybyte.com+3sedaily.com+3v.daum.net+3.
- 노도강·금관구 등 외곽지역도 동반하락
- 노원구: –58.0%
- 도봉구: –47.9%
- 강북구: –28.6%
- 금천·관악·구로: –73~77% 감소 mk.co.kr+3hani.co.kr+3v.daum.net+3v.daum.net+1khan.co.kr+1v.daum.net+4v.daum.net+4sedaily.com+4.
- 25개 자치구 전부 감소, 단 22개는 50% 이상 급감 donga.com+7sedaily.com+7v.daum.net+7.
💸 대출 신청 마저 ‘반토막’
- 주담대 일평균 신청액:
- 6월 23
27일: 약 7,400억 원 → 6월 30일7월 3일: 약 3,500억 원 - 감소율: –52.7% pinpointnews.co.kr+12khan.co.kr+12donga.com+12donga.com.
- 6월 23
- 은행권 주담대 금리 인상·심사 강화도 영향을 미침 news.nate.com+3khan.co.kr+3mydailybyte.com+3.
🚫 계약 취소 속출
- 규제 발표 직접 영향 계약 해제:
- 6월 6일~7월 3일 체결된 계약 중, 발표 후 해제된 거래 약 151건
- 이 중 약 **77%**가 사전 성사된 거래 news.nate.com+5khan.co.kr+5donga.com+5.
- 200여 건 계약 해제도 나타나, 일부는 계약금 포기 사례도 .
📊 시장 영향 요약
- 단기적 시장 위축 효과 분명
- 거래량·금액·대출 신청 모두 급감하며, 강남은 물론 외곽지역까지 관망세 확산 mk.co.krmydailybyte.com+7sedaily.com+7mk.co.kr+7.
- 집값 상승세 둔화 조짐
- 한국부동산원의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4.2 → 103.7로 하락, 동남권 지수도 108.8 → 106.4 mydailybyte.com+1news.nate.com+1mk.co.kr+1donga.com+1.
- 집값 상승률도 0.54% → 0.40% 수준 소폭 둔화 v.daum.net+5mydailybyte.com+5donga.com+5.
- 전세 시장도 얼어붙음
- 신축 중심 전세대출 축소로 전세 거래와 신규 계약 감소 donga.com+2mydailybyte.com+2hani.co.kr+2.
- 전문가 의견
- 단기적 효과는 인정하지만, 장기 안정화 위해선 공급 정책 병행 필요 mk.co.kr+1donga.com+1.
📝 총평 및 향후 전망
- 6·27 대출 규제는 발표 즉시 서울 부동산 ‘소강 상태’ 진입을 불러왔으며, 거래량과 거래액, 대출수요 모두 60~80% 급감하는 위력 있는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 단기간 시장 충격은 명확하지만, 중·장기 주택 안정을 위해선 공급 확대, 세부 정책 정교화, 시장 모니터링 지속이 필수입니다.
- 향후 정부는 신도시 공급 가속화, 도심 고밀 개발, 공공 재개발 확대 등을 예고하고 있으며, 그 성과에 따라 부동산 시장의 회복 또는 추가 안정화가 결정될 전망입니다
반응형
'실시간 이슈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한국에 25% 상호관세 통보! 8월 1일부터 전면 부과 (0) | 2025.07.08 |
---|---|
2025년 7월 이후 부동산 대출정책 '총정리 2편' (2) | 2025.07.06 |
2025년 7월 이후 부동산 대출정책 '총정리 1편' (2) | 2025.07.06 |
돈주고 헬스장 가서 트레이너 눈치보며 운동 해야하는 여자 (0) | 2021.02.11 |
이유없이 그냥 심심해서 “3일동안 돈 없이” 노숙해본 후기 (0) | 2021.02.11 |